공지사항
- home
- 교육원 활동
- 공지사항
2018 재외동포 국내교육과정 수학생 모집(3회차) 계획(7/4 (수) 12시까지)
2018.06.07 12:01
| |
2018 재외동포 국내교육과정 수학생 모집(3회차) 계획 | |
| |
1. 모집개요
□ 모집대상 및 교육내용
구분 | 대학(원)진학과정 Ⅱ | 모국이해과정 (여름, 가을, 겨울) | 방학특별과정 (하계, 동계) |
모집대상 | 재외동포로서 외국학교에서 12년 이상의 정규교육을 받은 사람 및 이와 동등한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어 공관장의 추천을 받은 사람 | 12세 이상의 재외동포(거주국 초등학교 졸업 이상 또는 이에 준하는 학력을 소지한 사람)로서 공관장의 추천을 받은 사람 | 12세 이상의 재외동포로서 공관장의 추천을 받은 사람 |
교육내용* | ◦국내대학(원) 진학 준비 ◦한국어 집중 학습 ◦한국 문화 및 역사 이해 | ◦한국어 의사소통능력 신장 ◦한국 문화 및 역사 이해 | ◦모국 역사‧문화 체험 |
□ 교육기간 및 지원서 접수
과정 | 구분 | 교육기간 | 재외공관 지원서 접수 | 사전 접수 |
대학(원) 수학준비과정 | Ⅱ | 9. 3. ~ ’19. 1. 31. | 3차 : 6. 1. ~ 7. 6. | 금회 접수 |
모국이해과정 | 가을(3개월) | 9. 3. ~ 11. 30. | 3차 : 6. 1. ~ 7. 6. | 금회 접수 |
겨울(2개월) | 12. 4. ~ ’19. 1. 31. | 4차 : 9. 1. ~ 10. 12. | (사전 접수)* 가능 | |
방학특별과정 | 동계 | ’19. 1. 14. ~ 1. 31. | 4차 : 9. 1. ~ 10. 12. | (사전 접수)* 가능 |
※ 유의사항: 장학금을 희망하는 학생은 3차에 신청하는 것이 장학생 선정에 유리(4차 지원 포함)
□ 교육경비
과정 | 수업료 | 기숙사비 | 식 비 | 체재비 총액 |
대학(원)수학준비과정(Ⅱ) | 1,150,000 | 750,000 | 1,485,000 | 3,385,000 |
모국이해과정(가을) | 690,000 | 450,000 | 891,000 | 2,031,000 |
모국이해과정(여름, 겨울) | 460,000 | 300,000 | 594,000 | 1,354,000 |
방학특별과정(동계, 하계) | 300,000 | 126,000 | 208,000 | 634,000 |
※ 기숙사 입사 일수 초과가 있을 경우 기숙사비 및 식비가 추가됨
※ 입학포기 및 자퇴 등의 사정으로 수료하지 못할 경우 교육경비 반환 내부 지침에 따라 반환 처리함
2. 제출 서류(원본 및 PDF파일 제출)
- 지원서 및 수학계획서( 2018_지원서,_수학계획서(영어).doc )
- 제반 증빙 서류 : 최종학교 졸업(예정)증명서(또는 재학증명서), 성적증명서, 여권사본, 재외동포임을 증명하는 서류
- 개인정보 수집 동의서 (개인정보수집및이용동의서(국문).docx )
- 장학금 신청 시 추가서류
◉ 필수: 장학금 신청서 1부( 2018 재외동포 국내교육과정 장학생 신청서(교육원용).docx )
◉ 선택: - 가정형편 곤란도를 증명 할 수 있는 서류 (은행 잔고 내역은 해당 없음)
- TOPIK 성적표(2016년 7월 이후 성적만 인정)
- 한국어 말하기대회 및 기타 한국교육원 행사 참여 및 수상 내역
※장학금 지원 내역: 체재비(수업료, 기숙사비, 식비)와 왕복 항공료(기준 금액)의 50% 내외
■ 서류번역 관련
공증은 절차 간소화 및 비용 절감을 위해 교육원에서 일괄 서류 처리하려 합니다.
성적증명서는 한글로 번역하여 원본과 같이 첨부하시기 바랍니다.
■ 재외동포를 증명할 수 있는 서류
- 학생 본인 한국여권이 있는 경우 생략
- 부모님의 영주권 카드나 여권에 출생지가 한국으로 표시된 경우 재외동포 증명 서류로 사용가능 (자녀신분증에 부모님 이름 표기 되어 있는 경우)
- 영주권 카드가 없는 경우, 부모님 중 한 분의 한국국적임을 증명하는 서류 (기본증명서, 또는 주민등록등본)와 가족관계증명서
- 국외 입양인의 경우 입양확인서
3. 수학생 및 장학생 선발
□ 수학생 선발방법 :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지원자격, 수학계획서, 졸업증명 서, 성적증명서 등을 고려하여 선발
□ 장학생 선발방법 : - 가정형편이 어려운 자, 한국어능력 우수자 (TOPIK 우수자/한국어 말하기 대회 수상자), 학교 성적 우수자, 수학 계획서 내용 충실도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 후 선발
※장학금 신청자의 경우, 해당 증빙서류 제출
4. 제출 방법
- 7월 4일 (수) 12시까지 주상파울루 한국교육원 (Rua Ribeiro de Lima 282 cj402) 으로 원본을 직접 또는 우편 제출
5. 문 의
- 재외동포 증명 및 장학금 관련 : 주상파울루 한국교육원 educoreano@gmail.com (메일로 서류 사전점검 가능)
- 한국 내 프로그램 및 일정 관련 : 국립공주대학교 한민족교육문화원 입학담당자
+82-41-850-6031,hansaram@kongju.ac.kr
6. 교육 내용
※ 상황에 따라 소폭 변경될 수 있습니다.
□ 공통과목별 교육내용
○ 한국어
구분 | 교육내용 | 비고 |
초급반 | 한국어급수 1~2급에 해당하는 어휘•문법, 회화, 쓰기 | 주교재 :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(국립국제교육원 발행) |
중급반 | 한국어급수 3~4급에 해당하는 어휘•문법, 회화, 쓰기 | |
고급반 | 한국어급수 5~6급에 해당하는 어휘•문법, 회화, 쓰기 |
○ 한국문화
주제 | 교 육 내 용 |
대한민국 | 한국의 지리적 위치 및 상징을 알아보고 애국가 부르기 |
생활문화 | 시장견학 등을 통해 한국인들의 생활 알아보기 |
대중문화 | 한국인들이 즐기는 노래, 영화, 연극 등을 소개하고 감상하기 |
현지음식 | 한국인들의 음식 문화를 알아보고 만들어 보기 |
주거문화 | 과거와 현재의 주거형태 비교를 통해 한국의 주거문화 알아보기 |
전통의상 | 한복의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입는 방법 알아보기 |
전통인사 | 한국인의 예절, 바르게 절하는 방법 알아보기 |
전통공연 | 전통 공연의 종류를 알아보고 탈 만들기 |
전통놀이 | 전통 놀이의 종류를 알아보고 놀이도구를 만들어 체험하기 |
전통의례 | 한국의 대표적 전통의례를 알아보고 차례(茶禮) 체험 |
전통공예 | 공예품의 쓰임과 종류를 알아보고 한지 그릇 만들기 |
세시풍속 | 한국의 대표 명절의 풍속을 알아보고 음식 만들기 |
주제 | 교 육 내 용 |
오리엔테이션 한국사 필수 어휘 학습 | - 수업 방향 제시 및 학생 기초조사 - 필수어휘 학습 |
(시대개관)선사시대, 고조선 | - 선사 문화와 한민족의 기원 |
(시대개관)삼국시대, 남북국시대 | - 고대 국가의 성립 및 발전 |
(시대개관)고려시대 | -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과 변천 |
(시대개관)조선시대 | - 조선 유교사회의 성립과 변화 |
(시대개관)대한제국, 일제강점기 | - 국제질서 변동과 근대국가 수립 운동 - 일제강점과 민족운동의 전개 |
(시대개관)남한과 북한 | - 대한민국정부 수립과 한국전쟁 |
(위기극복사)살수대첩, 대몽항쟁 등 | - 고구려 대외항쟁 과정 및 결과 - 고려 대외항쟁 과정 및 결과 |
(위기극복사)임진전쟁, 3.1운동 등 | - 임진전쟁의 전개와 극복 - 3.1운동의 배경과 전개 및 의의 |
(이민사)시대별로 보는 이민사 | - 시대별 이민의 양상 |
(이민사)지역별로 보는 이민사 | - 일본‧남미‧중국‧CIS 지역별 이민의 양상 |
(교류사)연행사와 통신사 | - 연행사와 통신사의 의미 및 의의 |
□ 선택과정 교육내용
○ 한국심화학습반
교과목 | 교육내용 |
기초한국어 | - [초급] 기초어휘‧문법, 회화, 쓰기 지도 |
에세이 | - [중급] 를 작문(생활문, 리포트 등) 지도 |
생활회화 | - [중급] 를 위한 생활회화 지도 |
이야기한국어 | - [중급] 한국 전래동화, 전설 등을 활용한 읽기‧쓰기 지도 |
대학한국어 | - [고급] 대학수학을 위한 독해‧작문‧발표‧토론 등 지도 |
시사한국어 | - [고급] 정치‧경제‧문화 등을 주제를 활용한 한국어 지도 |
TOPIK Ⅰ•Ⅱ | - [초‧중급] 한국어능력시험 대비 기출문제 분석‧모의문항 풀이 |
○ 역사문화체험반
교과목 | 교육내용 |
Doing Culture | - [중‧고급] 한국문화체험 학습 |
미디어 한국사 | - [중‧고급] 영화‧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역사 수업 |
□ 수업 시수
○ 주당 수업시수
구분 | 공통과정 | 선택과정 | 총계 | ||||
한국어 Ⅰ~Ⅵ | 한국문화 | 한국사 | 계 | 한국어 심화학습 | 역사문화체험 | ||
주당시수 | 8~12 | 3 | 3 | 15 | 10 | 10 | 25 |
○ 과정별 총시수
구분 | 대학(원)진학과정 (5개월/24주 기준) | 모국이해과정 (3개월/12주 기준) | 모국이해과정 (2개월/8주 기준) | 방학특별과정 (3주 과정) |
총시수 | 500시수 | 300시수 | 200시수 | 90시수 이하 |
※ 한국어능력별 반편성
구분 | 한국어 | 한국문화 | 한국역사 | 계 |
초급반(한국어Ⅰ,Ⅱ) | 12시수 | 3시수 | - | 15시수 |
중급반(한국어Ⅲ,Ⅳ) | 8시수 | 3시수 | 4시수 | 15시수 |
고급반(한국어Ⅴ,Ⅵ) | 8시수 | 3시수 | 4시수 | 15시수 |